1번 문제
정답: ④ 우라늄
문제
그림은 핵분열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. 다음 중 이 반응을 이용하는 핵발전의 연료에 해당하는 것은?
지문: 그림에서는 중성자가 원자핵에 충돌하여 핵분열을 일으키고, 더 많은 중성자가 방출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.
보기:
- ① 바람
- ② 석탄
- ③ 수소
- ④ 우라늄
문제 풀이
문제 분석과 해결 과정
|
보기 분석
|
|
결론 지문과 사례를 고려할 때, 정답은 ④ 우라늄입니다. |
2번 문제
정답: ② 20 J
문제
열효율이 \( 20\% \)인 열기관에 공급된 열에너지가 100 J일 때, 이 열기관이 한 일은?
보기:
- ① 10 J
- ② 20 J
- ③ 30 J
- ④ 40 J
문제 풀이
열효율의 개념
|
주어진 값
|
공식에 대입
|
|
결론 열기관이 한 일은 20 J입니다. |
3번 문제
정답: ④ A와 B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같다.
문제
그림은 자유 낙하하는 물체를 같은 시간 간격으로 나타낸 것이다. 구간 A~C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 (단,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.)
보기:
- ① A에서 가속도는 0이다.
- ② B에서 속도는 일정하다.
- ③ C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0이다.
- ④ A와 B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같다.
문제 풀이
|
자유 낙하 운동의 기본 개념 자유 낙하 운동은 중력에 의해서만 물체가 운동하는 경우입니다. 공기 저항이 없다고 가정하므로 물체에는 중력만 작용합니다. 가속도는 항상 중력가속도 \( g \)이며, 약 \( g = 9.8 \, \text{m/s}^2 \)입니다. |
|
속도와 가속도의 변화 물체가 떨어지는 동안 가속도는 일정하고, 물체의 속도는 점점 증가합니다. 즉, 물체는 등가속도 운동을 합니다. |
|
물체에 작용하는 힘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(지구가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)입니다. 중력의 방향은 항상 아래쪽이며, 물체가 어디에 있든 변하지 않습니다. |
보기 분석
|
|
결론 A와 B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같다. |
4번 문제
정답: ① 3 m/s
문제
질량이 다른 두 물체 A와 B가 수평면에서 각각 일정한 속도로 운동하고 있다. 두 물체의 운동량의 크기가 같을 때 B의 속도 \( v \)는?
조건:
- 물체 A: 질량 \( 3 \, \text{kg} \), 속도 \( 1 \, \text{m/s} \)
- 물체 B: 질량 \( 1 \, \text{kg} \), 속도 \( v \, \text{m/s} \)
보기:
- ① \( 3 \, \text{m/s} \)
- ② \( 5 \, \text{m/s} \)
- ③ \( 7 \, \text{m/s} \)
- ④ \( 9 \, \text{m/s} \)
문제 풀이
|
1. 운동량의 개념 운동량 \( p \)은 물체의 질량과 속도의 곱으로 정의됩니다. \[ p = m \cdot v \] 여기서 \( m \)은 질량, \( v \)는 속도입니다. |
|
2. 조건 분석 문제에서 두 물체의 운동량의 크기가 같다고 했습니다. 따라서: \[ p_A = p_B \]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: \[ m_A \cdot v_A = m_B \cdot v_B \] |
|
3. 값 대입 물체 A의 질량 \( m_A = 3 \, \text{kg} \), 속도 \( v_A = 1 \, \text{m/s} \) 물체 B의 질량 \( m_B = 1 \, \text{kg} \), 속도 \( v_B = v \) 이를 식에 대입하면: \[ 3 \cdot 1 = 1 \cdot v \] |
|
4. 속도 계산 위 식을 정리하면: \[ v = 3 \, \text{m/s} \] |
|
결론 물체 B의 속도 \( v \)는 \( 3 \, \text{m/s} \)입니다. |
5번 문제
정답: ④ 탄소 나노 튜브
문제
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신소재는?
- 그래핀이 튜브 형태로 결합된 구조이다.
- 구리보다 열전도율이 뛰어나다.
보기:
- ① 고무
- ② 유리
- ③ 나무
- ④ 탄소 나노 튜브
문제 풀이
1. 주어진 설명 분석
|
2. 보기 분석
|
|
결론 그래핀이 튜브 형태로 결합된 구조이며, 구리보다 열전도율이 뛰어난 신소재는 **탄소 나노 튜브**입니다. |
6번 문제
정답: ② ㄷ
문제
설탕과 염화 나트륨(NaCl)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<보기>에서 모두 고른 것은?
<보기>
- ㄱ. 설탕은 이온 결합 물질이다.
- ㄴ. 설탕을 물에 녹이면 대부분 이온이 된다.
- ㄷ. NaCl은 수용액 상태에서 전기가 통한다.
보기 선택지:
- ① ㄱ
- ② ㄷ
- ③ ㄱ, ㄴ
- ④ ㄴ, ㄷ
문제 풀이
1. 설탕과 염화 나트륨(NaCl)의 성질 분석
|
2. 보기 분석
|
|
3. 정답 도출 옳은 설명은 \( \text{ㄷ} \) 하나뿐입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② ㄷ입니다. |
7번 문제
정답: ③ 전력 수송 과정에서 전력 손실은 발생하지 않는다.
문제
그림은 전기 에너지의 생산과 수송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.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보기:
- ① 발전소는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곳이다.
- ② 변전소는 전압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.
- ③ 전력 수송 과정에서 전력 손실은 발생하지 않는다.
- ④ 주상 변압기는 전압을 220V로 낮춰 가정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.
문제 풀이
1. 전기 에너지의 생산과 수송 과정
|
2. 보기 분석
|
|
3. 결론 전력 수송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설명은 틀립니다. 정답은 ③ 전력 수송 과정에서 전력 손실은 발생하지 않는다입니다. |
8번 문제
정답: ② 2개
문제
산소 원자가 안정한 원소인 네온과 같은 전자 배치를 하기 위해 얻어야 하는 전자의 개수는?
보기:
- ① 1개
- ② 2개
- ③ 3개
- ④ 4개
문제 풀이
|
1. 전자 배치의 기본 개념 원자의 전자 배치는 에너지 준위에 따라 껍질(오비탈)에 전자가 배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.
|
2. 산소 원자와 네온 원자의 전자 배치
|
|
3. 산소가 네온과 같은 전자 배치를 가지기 위해 산소 원자가 네온과 같은 안정한 상태가 되려면 바깥 껍질에 8개의 전자를 채워야 합니다. 현재 산소는 바깥 껍질에 6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: \[ 8 - 6 = 2 \, \text{개} \] 산소는 2개의 전자를 추가로 얻으면 네온과 같은 전자 배치를 가질 수 있습니다. |
4. 보기 분석
|
|
5. 결론 산소 원자가 안정한 네온과 같은 전자 배치를 가지려면 **2개의 전자**를 추가로 얻어야 합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② 2개입니다. |
9번 문제
정답: ④ 환원
문제
다음 설명의 ㉠에 해당하는 것은?
질산 은(AgNO₃) 수용액에 구리(Cu) 선을 넣어 두면 구리는 전자를 잃어 구리 이온(Cu²⁺)으로 산화되고, 은 이온(Ag⁺)은 전자를 얻어 은(Ag)으로 ㉠ 된다.
보기:
- ① 산화
- ② 연소
- ③ 중화
- ④ 환원
문제 풀이
1. 화학 반응의 개념 정리
|
2. 질산 은 수용액과 구리 반응 분석
|
3. 보기 분석
|
|
4. 결론 **은 이온(Ag⁺)**이 전자를 얻어 은(Ag)으로 변하는 과정은 **환원**입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④ 환원입니다. |
10번 문제
정답: ② KOH
문제
수산화 나트륨(NaOH) 수용액은 붉은색 리트머스 종이를 푸른색으로 변하게 하는 성질이 있다. 다음 물질의 수용액 중 이와 같은 성질을 나타내는 것은?
보기:
- ① HCl
- ② KOH
- ③ HNO₃
- ④ H₂SO₄
문제 풀이
|
1. 리트머스 종이의 성질 리트머스 종이는 물질의 산성 또는 염기성을 구별하는 지시약입니다.
|
2. 보기의 물질 분석
|
|
3. 결론 NaOH처럼 붉은색 리트머스 종이를 푸른색으로 변하게 하는 물질은 **염기성 용액**입니다. 보기 중 **KOH(수산화 칼륨)**가 이에 해당합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② KOH입니다. |
11번 문제
정답: ① 1 : 1
문제
다음 화학 반응식에서 수소 이온(H⁺)과 수산화 이온(OH⁻)이 반응하는 개수비는?
화학 반응식:
\(\text{H}^+ + \text{OH}^- \rightarrow \text{H}_2\text{O}\)
보기:
- ① 1 : 1
- ② 1 : 2
- ③ 2 : 1
- ④ 3 : 2
문제 풀이
|
1. 화학 반응식 분석 주어진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습니다: \[ \text{H}^+ + \text{OH}^- \rightarrow \text{H}_2\text{O} \] 이 반응은 산-염기 중화 반응으로, **수소 이온(H⁺)**과 **수산화 이온(OH⁻)**이 결합하여 **물(H₂O)**을 생성하는 과정입니다. |
2. 반응 비율 확인
|
3. 보기 분석
|
|
4. 결론 수소 이온(H⁺)과 수산화 이온(OH⁻)의 반응 비율은 **1 : 1**입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① 1 : 1입니다. |
12번 문제
정답: ④ 아미노산
문제
그림은 단백질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. 단백질을 구성하는 단위체 A는?
보기:
- ① 녹말
- ② 핵산
- ③ 포도당
- ④ 아미노산
문제 풀이
|
1. 단백질 형성 과정 단백질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중요한 생체 분자입니다. 단백질이 형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:
|
2. 보기 분석
|
|
3. 결론 단백질을 구성하는 단위체 A는 **아미노산**입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④ 아미노산입니다. |
13번 문제
정답: ③ 유전적 다양성
문제
다음 설명의 ㉠에 해당하는 것은?
한 생물종 내에서도 개체마다 유전자가 달라 다양한 형질이 나타난다. 하나의 종에서 나타나는 유전자의 다양한 정도를 ㉠이라고 한다.
보기:
- ① 군집
- ② 개체군
- ③ 유전적 다양성
- ④ 생태계 다양성
문제 풀이
|
1. 문제 상황 이해 주어진 설명에서 핵심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:
|
2. 각 용어의 의미 분석
|
|
3. 결론 설명에서 말한 유전자의 다양한 정도는 바로 **유전적 다양성**을 의미합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③ 유전적 다양성입니다. |
14번 문제
정답: ④ 물질대사
문제
다음 중 생물이 생명 유지를 위해 생명체 내에서 물질을 분해하거나 합성하는 모든 화학 반응을 무엇이라고 하는가?
보기:
- ① 삼투
- ② 연소
- ③ 확산
- ④ 물질대사
문제 풀이
|
1. 문제의 핵심 이해 생물이 생명 유지를 위해 물질을 분해하거나 합성하는 모든 화학 반응을 의미하는 용어를 묻고 있습니다. 이는 생명체 내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의 총합을 의미합니다. |
2. 보기의 각 용어 분석
|
|
3. 결론 생명체 내 물질 분해와 합성을 포함하는 모든 화학 반응은 **물질대사**입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④ 물질대사입니다. |
15번 문제
정답: ② 엽록체
문제
그림과 같이 광합성이 일어나는 식물의 세포 소기관은?
보기:
- ① 핵
- ② 엽록체
- ③ 세포막
- ④ 미토콘드리아
문제 풀이
|
1. 광합성의 정의 광합성은 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해 **이산화탄소(CO₂)**와 **물(H₂O)**로부터 **포도당(C₆H₁₂O₆)**과 **산소(O₂)**를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. 이 과정은 식물의 세포 소기관인 **엽록체**에서 일어납니다. |
2. 각 보기의 역할 분석
|
|
3. 결론 광합성이 일어나는 세포 소기관은 **엽록체**입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② 엽록체입니다. |
16번 문제
정답: ③ RNA / 단백질
문제
그림은 세포 내 유전 정보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. ①과 ②에 해당하는 물질은?
지문:
DNA → 전사 → ① → 번역 → ②
보기:
- ① 단백질 / ② 단백질
- ② 단백질 / RNA
- ③ RNA / 단백질
- ④ RNA / RNA
문제 풀이
|
1. 세포 내 유전 정보의 흐름 세포 내에서 유전 정보의 흐름은 중심 원리(Central Dogma)에 따라 진행됩니다:
|
2. 문제 분석
|
3. 보기 분석
|
|
4. 결론 전사 과정에서는 **RNA**가 생성되고, 번역 과정에서는 **단백질**이 생성됩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③ RNA / 단백질입니다. |
17번 문제
정답: ④ DNA
문제
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?
지문:
- 이중 나선 구조이다.
- A, G, C, T의 염기 서열로 유전 정보를 저장한다.
보기:
- ① 지방
- ② 효소
- ③ 단백질
- ④ DNA
문제 풀이
1. 주어진 설명 분석
|
2. 보기 분석
|
|
3. 결론 주어진 설명은 이중 나선 구조와 염기 서열을 통한 유전 정보 저장으로, 이는 **DNA**를 가리킵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④ DNA입니다. |
18번 문제
정답: ① 벼
문제
그림은 생태계의 구성 요소 중 생물적 요인을 나타낸 것이다. A에 해당하는 생물은?
그림 구조:
- A → 소비자 ↔ 분해자
보기:
- ① 벼
- ② 토끼
- ③ 독수리
- ④ 곰팡이
문제 풀이
|
1. 생태계의 생물적 요인 생태계의 생물적 요인은 주로 다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:
|
|
2. 그림에서 A의 역할 분석 그림에서 A는 **소비자와 분해자에게 에너지를 제공**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 이는 생태계에서 **생산자**의 역할입니다. |
3. 보기 분석
|
|
4. 결론 A는 생태계에서 **생산자** 역할을 하는 생물이며, 이에 해당하는 생물은 **벼**입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① 벼입니다. |
19번 문제
정답: ② 중생대
문제
그림은 어느 지질 시대의 표준 화석을 나타낸 것이다. 이 생물이 번성하였던 지질 시대는?
지문: 그림에는 공룡 화석이 그려져 있습니다.
보기:
- ① 신생대
- ② 중생대
- ③ 고생대
- ④ 선캄브리아 시대
문제 풀이
|
1. 공룡이 번성한 시기 공룡은 약 2억 5천만 년 전부터 번성하기 시작했으며, **중생대**에 가장 크게 번성했습니다. 중생대는 크게 세 시기로 나뉩니다:
|
2. 각 보기의 지질 시대 분석
|
|
3. 결론 공룡이 번성했던 지질 시대는 **중생대**입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② 중생대입니다. |
20번 문제
정답: ③ C
문제
그림은 지구 내부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. A~D는 각각 지각, 맨틀, 외핵, 내핵 중 하나이다. 액체 상태인 층은?
보기:
- ① A
- ② B
- ③ C
- ④ D
문제 풀이
|
1. 지구 내부의 층상 구조 지구 내부는 다음과 같은 4개의 주요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:
|
|
2. 그림의 층 구조 분석 그림에서 A~D로 구분된 층은 다음과 같습니다:
|
|
3. 액체 상태인 층 확인 외핵이 지구 내부에서 유일하게 **액체 상태**인 층입니다. 그림에서 **C**가 외핵에 해당하므로, 액체 상태인 층은 C입니다. |
4. 보기 분석
|
|
5. 결론 지구 내부에서 **액체 상태**인 층은 **외핵(C)**입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③ C입니다. |
21번 문제
정답: ① 해령
문제
다음 판의 경계에 발달하는 지형은?
주어진 조건:
- 발산형 경계이다.
- 맨틀 대류 상승부이다.
- 판이 생성되는 곳이다.
보기:
- ① 해령
- ② 해구
- ③ 호상 열도
- ④ 변환 단층
문제 풀이
|
1. 판의 경계 유형 지구의 판 구조론에 따르면 판의 경계는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:
|
|
2. 조건에 맞는 지형 확인 주어진 조건:
해령은 해양판이 발산하면서 생성되는 산맥 형태의 지형입니다. 예: 대서양 중앙 해령, 동태평양 해령 |
3. 보기 분석
|
|
4. 결론 발산형 경계에서 판이 생성되는 곳에 발달하는 지형은 **해령**입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① 해령입니다. |
22번 문제
정답: ① A
문제
그림은 지구 시스템을 이루는 각 권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 것이다. A~D 중 화산 활동에 의한 화산 가스가 대기 중에 방출되는 것에 해당하는 상호 작용은?
그림의 각 상호작용:
- A: 지권 ↔ 기권
- B: 기권 ↔ 생물권
- C: 기권 ↔ 수권
- D: 지권 ↔ 수권
보기:
- ① A
- ② B
- ③ C
- ④ D
문제 풀이
|
1. 화산 활동과 화산 가스의 방출 화산 활동은 **지권**에서 발생합니다. 이때 화산 활동으로 발생한 화산 가스(이산화탄소, 수증기, 황산화물 등)는 **기권**(대기 중)으로 방출됩니다. 따라서 이는 **지권과 기권** 사이의 상호작용에 해당합니다. |
2. 그림의 상호작용 분석
|
|
3. 결론 화산 활동으로 화산 가스가 대기 중에 방출되는 것은 **지권과 기권** 사이의 상호작용이며, 이는 **A**에 해당합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① A입니다. |
23번 문제
정답: ③ 엘니뇨
문제
다음 설명의 ㉠에 해당하는 것은?
태평양의 적도 부근에서 부는 무역풍이 몇 년에 한 번씩 약해지면서 남적도 해류의 흐름이 느려져서, 동태평양 적도 해역의 표층 수온이 평상시보다 높아진다. 이러한 현상을 ㉠이라고 한다.
보기:
- ① 사막화
- ② 산사태
- ③ 엘니뇨
- ④ 한파
문제 풀이
|
1. 주어진 설명 분석 주어진 설명에서 핵심 내용:
|
2. 엘니뇨 현상
|
3. 보기 분석
|
|
4. 결론 태평양 적도 해역에서 무역풍이 약해지며 동태평양의 수온이 상승하는 현상은 **엘니뇨**입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③ 엘니뇨입니다. |
24번 문제
정답: ③ ㄱ, ㄴ
문제
그림은 수소 기체 방전관에서 나온 빛의 방출 스펙트럼을 분광기를 이용해 관찰한 것이다.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<보기>에서 모두 고른 것은?
보기:
- ㄱ. 선 스펙트럼이다.
- ㄴ. 가시광선 영역에 속한다.
- ㄷ. 헬륨의 스펙트럼도 같은 위치에 선이 나타난다.
보기 선택지:
- ① ㄱ
- ② ㄷ
- ③ ㄱ, ㄴ
- ④ ㄴ, ㄷ
문제 풀이
|
1. 선 스펙트럼의 정의 선 스펙트럼은 특정 원소의 원자가 들뜬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전이할 때 방출되는 특정 파장의 빛이 선으로 나타나는 스펙트럼입니다. **수소 기체 방전관**의 방출 스펙트럼은 **수소 원자만의 고유한 선 스펙트럼**입니다. |
|
2. 가시광선 영역 여부 가시광선 영역은 약 **400 nm ~ 700 nm**의 파장을 가진 빛을 의미합니다. 그림의 스펙트럼은 400 nm ~ 700 nm 사이에 선이 나타나므로 **가시광선 영역에 해당**합니다. |
|
3. 헬륨 스펙트럼과의 비교 각 원소의 방출 스펙트럼은 **고유한 파장**을 가지며, 서로 다릅니다. 수소의 방출 스펙트럼은 **헬륨의 스펙트럼과 다른 위치에 나타납니다.** |
4. 보기 분석
|
|
5. 결론 정답은 ③ ㄱ, ㄴ입니다. |
25번 문제
정답: ① 헬륨
문제
그림은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의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모두 끝났을 때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. ①에 해당하는 원소는?
보기:
- ① 헬륨
- ② 산소
- ③ 철
- ④ 우라늄
문제 풀이
|
1. 별의 핵융합 과정 태양과 같은 중간 질량의 별은 핵융합 반응을 통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원소를 생성합니다:
|
|
2. 그림 분석 그림에서 중심부에 위치한 원소는 ①로 표시되어 있습니다.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은 중심부에 **헬륨**이 남습니다. |
3. 보기 분석
|
|
4. 결론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에서 핵융합 반응이 끝난 후 중심부에 남는 원소는 **헬륨**입니다. 따라서 정답은 ① 헬륨입니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