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4년도 2회차 국어기출문제풀이

1번 문제

정답: ③ 상대방의 부담을 덜어 주며 말한다

문제

[수정 후]에 반영된 언어 예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

수정 전: 은수야, 네 축구공 줘!
수정 후: 은수야, 네 축구공 좀 빌려줄 수 있겠니?

보기:

  • ① 자신의 탓으로 돌려서 말한다.
  • ② 자신을 낮추어 겸손하게 말한다.
  • ③ 상대방의 부담을 덜어 주며 말한다.
  • ④ 상대방과의 친밀도를 강조하며 말한다.

문제 풀이

문제 분석
"수정 전" 문장은 명령조로 직설적인 표현을 사용한 반면, "수정 후" 문장은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한 부드러운 표현으로 변화하였습니다. 특히, "좀 빌려줄 수 있겠니?"라는 표현은 상대방이 요청을 거절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며 부담을 덜어주는 방식입니다.
보기 분석
  • ① 자신의 탓으로 돌려서 말한다: 지문에서 자신의 책임을 강조하는 부분은 없습니다.
  • ② 자신을 낮추어 겸손하게 말한다: 겸손한 표현의 요소가 있을 수 있지만, 핵심은 상대방의 부담을 덜어주는 데 있습니다.
  • ③ 상대방의 부담을 덜어 주며 말한다: "좀 빌려줄 수 있겠니?"라는 표현은 요청의 강도를 낮추어 상대방이 거절하거나 받아들이는 데 부담이 없도록 설계된 문장입니다.
  • ④ 상대방과의 친밀도를 강조하며 말한다: 표현에는 친밀감이 나타날 수 있으나, 이 문제에서 초점은 부담을 덜어주는 배려입니다.
결론
지문과 보기 분석을 종합할 때, 정답은 ③ 상대방의 부담을 덜어 주며 말한다입니다.

2번 문제

정답: ③ 발표의 중심 화제를 청중이 알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

문제

다음 발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말하기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

발표자: 여러분, 판다를 아시나요? (대답을 들은 후) 역시 이 자리에도 판다를 아시는 분들이 많군요. 오늘은 알고 보면 부지런한 동물인 판다에 관해 발표하려고 합니다.

보기:

  • ① 발표의 근거 자료를 신뢰하는지 청중에게 묻고 있다.
  • ② 발표 내용을 청중이 정확히 이해하도록 예를 들고 있다.
  • ③ 발표의 중심 화제를 청중이 알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.
  • ④ 발표 내용의 순서를 제시하여 청중의 이해를 돕고 있다.

문제 풀이

문제 분석
발표자는 "여러분, 판다를 아시나요?"라는 질문을 통해 청중의 사전 지식을 확인하고 있습니다. 이후, "역시 이 자리에도 판다를 아시는 분들이 많군요."라는 말을 통해 청중의 반응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, "오늘은 알고 보면 부지런한 동물인 판다에 관해 발표하려고 합니다."라고 발표 주제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. 이 과정을 통해 발표자는 중심 화제(판다)를 청중이 알고 있는지 확인하며 말하기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
보기 분석
  • ① 발표의 근거 자료를 신뢰하는지 청중에게 묻고 있다: 근거 자료에 대한 신뢰를 묻는 내용은 지문에 없습니다.
  • ② 발표 내용을 청중이 정확히 이해하도록 예를 들고 있다: 구체적인 예시를 들며 설명하는 과정이 아닙니다.
  • ③ 발표의 중심 화제를 청중이 알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: "판다를 아시나요?"라는 질문을 통해 중심 화제를 청중이 알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.
  • ④ 발표 내용의 순서를 제시하여 청중의 이해를 돕고 있다: 발표 순서를 설명하거나 구조를 제시하는 내용은 없습니다.
결론
지문과 보기 분석을 종합할 때, 정답은 ③ 발표의 중심 화제를 청중이 알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입니다.

3번 문제

정답: ④ 얼마 전 다친 상처에 딱찌가 앉았다.

문제

다음 중 ‘한글 맞춤법’ 규정을 잘못 적용한 것은 무엇입니까?

한글 맞춤법 제5항:
된소리 표기 원칙: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.
예외 규정: ‘ㄱ, ㅂ’ 받침 뒤에서 된소리가 나더라도,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적지 아니한다.

보기:

  • ① 그릇에 밥을 담뿍 담았다.
  • ② 벌레를 보고 법석을 떨었다.
  • ③ 상대 팀은 예상보다 훨씬 강했다.
  • ④ 얼마 전 다친 상처에 딱찌가 앉았다.

문제 풀이

문제 분석
제5항 규정 요약:
된소리는 음운적으로 자연스러운 경우 표기되며, ‘ㄱ, ㅂ’ 받침 뒤에서 같은 음절이 반복되지 않으면 된소리로 표기하지 않아야 합니다.
보기 분석
  • ① 담뿍: ‘담뿍’은 ‘ㄱ’ 받침 뒤에서 된소리가 나지만, 이는 된소리 표기로 자연스러운 경우에 해당합니다. → 맞음
  • ② 법석: ‘법석’은 ‘ㅂ’ 받침 뒤에서 된소리가 나며, 단어의 고유 형태로 규정에 부합합니다. → 맞음
  • ③ 훨씬: ‘훨씬’은 된소리 규정과 관계없이 올바른 표기입니다. → 맞음
  • ④ 딱찌: ‘딱찌’는 ‘딱지’가 표준어입니다. ‘ㄱ’ 받침 뒤 된소리를 잘못 표기한 사례로 규정에 맞지 않습니다. → 틀림
결론
정답은 ④ 얼마 전 다친 상처에 딱찌가 앉았다.
‘딱찌’는 비표준어이며, 올바른 표기는 ‘딱지’입니다.

4번 문제

정답: ③ 오빠가 구슬을 굴렸다.

문제

다음 중 피동 표현이 사용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?

피동 표현: 일부 능동사의 어간에 피동 접미사 ‘-이-, -히-, -리-, -기-’를 붙여 만들어집니다.

보기:

  • ① 들판이 눈으로 덮였다.
  • ② 눈가에 눈물이 맺혔다.
  • ③ 오빠가 구슬을 굴렸다.
  • ④ 과일이 그릇에 담겼다.

문제 풀이

문제 분석
피동 표현은 동작이 주체에 의해 일어나는 능동 표현과 달리, 동작을 받는 대상을 나타냅니다. 이를 위해 피동 접미사인 ‘-이-, -히-, -리-, -기-’가 활용됩니다.
보기 분석
  • ① 들판이 눈으로 덮였다: ‘덮다’(능동사) → ‘덮이다’(피동사)로, 피동 접미사 ‘-이-’가 사용된 피동 표현입니다. → 피동 표현
  • ② 눈가에 눈물이 맺혔다: ‘맺다’(능동사) → ‘맺히다’(피동사)로, 피동 접미사 ‘-히-’가 사용된 피동 표현입니다. → 피동 표현
  • ③ 오빠가 구슬을 굴렸다: ‘굴리다’(피동사)와는 달리, 여기서는 오빠가 구슬을 능동적으로 굴린 상황으로, 피동 표현이 아닙니다. → 능동 표현
  • ④ 과일이 그릇에 담겼다: ‘담다’(능동사) → ‘담기다’(피동사)로, 피동 접미사 ‘-기-’가 사용된 피동 표현입니다. → 피동 표현
결론
정답은 ③ 오빠가 구슬을 굴렸다.
이는 능동 표현으로, 피동 접미사가 사용되지 않았습니다.

5번 문제

정답: ② ㉡: 이어 적기로 표기되었다.

문제

㉠∼㉣에 나타난 중세 국어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?

  • ① ㉠: 주격 조사 ‘ㅣ’가 쓰였다.
  • ② ㉡: 이어 적기로 표기되었다.
  • ③ ㉢: 방점으로 성조를 나타내었다.
  • ④ ㉣: 어두 자음군이 사용되었다.
  • ⑤ ㉤: 종성 부용 초성이 나타났다.

문제 풀이

중세 국어의 특징 요약
  • 주격 조사 ‘ㅣ’ 사용: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주격 조사로 ‘ㅣ’가 사용되었습니다.
  • 이어 적기(연철): 조사나 어미를 앞 단어에 붙여 적는 방식이 사용되었습니다. (예: ‘깊으니’를 ‘기프니’로 표기)
  • 방점 사용: 성조를 나타내기 위해 글자 왼쪽에 방점을 찍었습니다. 평성(방점 없음), 거성(방점 하나), 상성(방점 두 개)로 구분되었습니다.
  • 어두 자음군 사용: 단어의 첫머리에 두 개 이상의 자음이 결합된 어두 자음군이 허용되었습니다. (예: ㅂᄅ-, ㅳ 등)
  • 종성 부용 초성: 종성을 초성으로 대신 쓰는 방식이 나타났습니다. (예: ‘밝다’를 ‘ᄇᆡᆰ다’로 표기)
보기 분석
  • ① ㉠: 주격 조사 ‘ㅣ’가 쓰였다: 중세 국어에서 주격 조사 ‘ㅣ’가 사용되었습니다. → 맞음
  • ② ㉡: 이어 적기로 표기되었다: 지문에서 이어 적기(조사나 어미를 앞 단어에 붙이는 방식)가 보이지 않습니다. → 틀림
  • ③ ㉢: 방점으로 성조를 나타내었다: 방점은 성조를 나타내는 중세 국어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. → 맞음
  • ④ ㉣: 어두 자음군이 사용되었다: 중세 국어에서 단어의 첫머리에 어두 자음군이 허용되었습니다. → 맞음
  • ⑤ ㉤: 종성 부용 초성이 나타났다: 중세 국어에서는 종성을 초성으로 대신 쓰는 방식이 나타났습니다. → 맞음
결론
정답은 ② ㉡: 이어 적기로 표기되었다.
지문에서 이어 적기 방식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중세 국어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.

6번 문제

정답: ① 개인 정보 보호에 힘쓰기

문제

㉠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:
제목: 인터넷에 지나치게 연결된 삶, 과잉 연결 시대
Ⅰ. 서론
과잉 연결 시대의 의미와 문제 제기
Ⅱ. 본론
과잉 연결의 문제점과 일상에서의 대응 방안
  • 문제점: 사이버 범죄에 쉽게 노출될 수 있음
    ⇨ ㉠
  • 문제점: 인간과 인간의 진정한 소통을 가로막음
    ⇨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있는 순간만큼은 인터넷 연결 끊기
Ⅲ. 결론
㉡ 과잉 연결 해소를 위한 적절한 대응 권유

선택지:

  • ① 개인 정보 보호에 힘쓰기
  • ② 자료의 가공을 자유롭게 허용하기
  • ③ 인터넷 접속 환경을 편리하게 개선하기
  • ④ 학습 형태를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전환하기

문제 풀이

문제의 상황 파악
본론의 첫 번째 문제점은 ‘사이버 범죄에 쉽게 노출될 수 있음’으로,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선택해야 합니다. 사이버 범죄 문제와 관련 있으려면 개인 정보 보호 또는 보안 강화와 같은 대책이 적절합니다.
선택지 분석
  • ① 개인 정보 보호에 힘쓰기: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개인 정보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은 적절한 대응책입니다. → 정답 가능
  • ② 자료의 가공을 자유롭게 허용하기: 이는 정보 공유 및 접근성 향상과 관련이 있으며, 사이버 범죄 예방과는 관계가 없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③ 인터넷 접속 환경을 편리하게 개선하기: 인터넷 접속 환경 개선은 기술적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, 사이버 범죄 대응과는 무관합니다. → 오답
  • ④ 학습 형태를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전환하기: 학습 환경 변화와 관련된 내용으로, 사이버 범죄 대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. → 오답
결론
정답은 ① 개인 정보 보호에 힘쓰기입니다.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개인 정보 보호는 중요한 대응 방안입니다.

7번 문제

정답: ① ⓐ: 조사를 잘못 사용했으므로 ‘연결이’로 바꾼다.

문제

ⓐ∼ⓓ의 고쳐쓰기 방안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:
인터넷 과잉 연결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범죄 노출과 소통 부재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.
이렇게 많은 문제점이 있음에도 모든 ⓐ 연결과 끊는 것은 어렵다.
ⓑ 운동 능력은 연습량에 비례하여 향상된다.
ⓒ 다다익선(多多益善)이란 말처럼 과도한 연결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음을 깨닫고, ‘위험한 편리’보다 ‘안전한 불편’을 선택해 보는 것은 ⓓ 어떻까?

선택지:

  • ① ⓐ: 조사를 잘못 사용했으므로 ‘연결이’로 바꾼다.
  • ② ⓑ: 중심 내용과 어울리지 않으므로 삭제한다.
  • ③ ⓒ: 문맥상 ‘과유불급(過猶不及)’으로 고친다.
  • ④ ⓓ: 맞춤법에 어긋난 표현이므로 ‘어떨까’로 수정한다.

문제 풀이

문제 분석
각 부분에서 어법, 문맥, 맞춤법 등을 검토하여 수정 방안이 적절한지 판단해야 합니다. 선택지 중 부적절한 수정 방안을 찾는 것이 목표입니다.
선택지 분석
  • ① ⓐ: 조사를 잘못 사용했으므로 ‘연결이’로 바꾼다.
    원문: ‘모든 연결과 끊는 것은 어렵다.’
    여기서 ‘연결과’는 조사가 적절히 사용된 표현으로, 이를 ‘연결이’로 바꾸는 것은 문법적으로 부적절합니다. ‘연결과 (무엇인가)’라는 병렬 구조로 적절히 쓰였으므로, 고칠 필요가 없습니다. → 부적절한 수정 방안
  • ② ⓑ: 중심 내용과 어울리지 않으므로 삭제한다.
    해당 문장은 본문의 맥락(인터넷 과잉 연결 문제와 해결 방안)과 관련이 없으므로 삭제가 적절합니다. → 적절한 수정 방안
  • ③ ⓒ: 문맥상 ‘과유불급(過猶不及)’으로 고친다.
    원문: ‘다다익선(多多益善)이란 말처럼 과도한 연결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음을 깨닫고...’
    ‘다다익선’은 ‘많을수록 좋다’는 의미로, 과잉 연결의 부정적 측면을 나타내는 문맥과 맞지 않습니다. 이를 ‘과유불급(지나침은 모자람과 같다)’으로 고치는 것은 적절합니다. → 적절한 수정 방안
  • ④ ⓓ: 맞춤법에 어긋난 표현이므로 ‘어떨까’로 수정한다.
    원문: ‘어떻까’는 맞춤법에 어긋난 표현입니다. 이를 ‘어떨까’로 고치는 것은 맞춤법에 적합합니다. → 적절한 수정 방안
결론
정답은 ① ⓐ: 조사를 잘못 사용했으므로 ‘연결이’로 바꾼다.
‘연결과’는 문법적으로 적합한 표현이며, 이를 ‘연결이’로 고치는 것은 부적절한 수정 방안입니다.

8번 문제

정답: ④ 국물[궁물]

문제

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음운 변동이 적용된 것은 무엇입니까?

설명:
‘ㄱ, ㄷ, ㅂ’이 뒤에 오는 비음 ‘ㄴ, ㅁ’의 영향을 받아 각각 비음 ‘ㅇ, ㄴ, ㅁ’으로 교체되어 발음되는 현상

보기:

  • ① 축하[추카]
  • ② 밥집[밥찝]
  • ③ 굳이[구지]
  • ④ 국물[궁물]

문제 풀이

음운 변동 분석
지문에서 설명하는 음운 변동은 비음화입니다.
비음화는 'ㄱ, ㄷ, ㅂ'이 뒤에 오는 비음(‘ㄴ, ㅁ’)의 영향을 받아 비음인 'ㅇ, ㄴ, ㅁ'으로 교체되는 현상입니다.
예:
국물 → 궁물 (ㄱ → ㅇ)
밥물 → 밤물 (ㅂ → ㅁ)
보기 분석
  • ① 축하[추카]: 축하의 발음에서 'ㅎ'의 영향으로 'ㅋ' 소리가 나는 현상은 축약이며, 비음화와 관련이 없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② 밥집[밥찝]: 밥집의 발음은 뒤 음절의 영향을 받아 경음화된 경우로, 비음화와 관련이 없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③ 굳이[구지]: 굳이의 발음에서 'ㄷ'이 유기음으로 변하는 것은 구개음화에 가까우며, 비음화와 관련이 없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④ 국물[궁물]: 국물의 발음에서 'ㄱ'이 뒤의 비음 ‘ㅁ’의 영향을 받아 비음 ‘ㅇ’으로 바뀌는 비음화 현상이 나타납니다. → 정답
결론
정답은 ④ 국물[궁물]입니다. 'ㄱ'이 뒤에 오는 비음 ‘ㅁ’의 영향을 받아 비음 ‘ㅇ’으로 교체되는 비음화 현상이 적용된 예입니다.

9번 문제

정답: 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

문제

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:
까마득한 날에
하늘이 처음 열리고
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

모든 산맥들이
바다를 연모(戀慕)해 휘달릴 때도
차마 이곳을 범하던 못하였으리라

끊임없는 광음(光陰)1)
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
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

지금 눈 나리고
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
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

다시 천고(千古)2)의 뒤에
백마 타고 오는 초인(超人)3)이 있어
이 광야에서 목 놓아 부르게 하리라
이육사, 「광야」
광음(光陰): 햇빛과 그늘, 즉 낮과 밤이라는 뜻으로 시간이나 세월을 이르는 말.
천고(千古): 아주 오랜 세월.
초인(超人): 보통 사람으로는 생각할 수 없을 만큼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.

선택지:

  • 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.
  • ② 음성 상징어를 활용해 리듬감을 형성하고 있다.
  • ③ 반어적 표현을 통해 시적 상황을 부각하고 있다.
  • ④ 미완의 문장 종결을 통해 시적 여운을 주고 있다.

문제 풀이

시 내용 분석
  • 1연 (과거):
    "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"
    원시적 시간에서 시작하여 자연의 신비와 경외를 나타냄.
    "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하던 못하였으리라"
    자연의 힘과 숭고함을 묘사하며, 과거의 위대함을 강조.
  • 2연 (현재):
    "끊임없는 광음을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"
    시간의 흐름과 자연의 순환을 서술.
    "지금 눈 나리고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"
    현재의 정취와 고요함을 묘사.
  • 3연 (미래):
    "다시 천고의 뒤에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"
    미래에 등장할 이상적 존재를 통해 희망과 염원을 표현.
    "이 광야에서 목 놓아 부르게 하리라"
    초인이 광야에서 희망의 노래를 부를 것을 예고하며 시상을 마무리.
선택지 분석
  • 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
    시는 과거(하늘이 처음 열린 때) → 현재(눈이 내리는 때) → 미래(초인이 나타날 때)로 전개됩니다.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시상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. → 정답
  • ② 음성 상징어를 활용해 리듬감을 형성하고 있다
    시에는 음성 상징어(의성어, 의태어)가 사용되지 않았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③ 반어적 표현을 통해 시적 상황을 부각하고 있다
    시는 반어적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④ 미완의 문장 종결을 통해 시적 여운을 주고 있다
    시는 명확한 종결("목 놓아 부르게 하리라")로 끝납니다. 미완의 문장으로 여운을 주는 방식이 아닙니다. → 오답
결론
정답은 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.
시는 과거(하늘이 처음 열렸던 때) → 현재(눈 내리고 매화 향기 나는 때) → 미래(초인을 기다리는 때)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습니다.

10번 문제

정답: ② 2연에서는 외부 세력에 대한 호감을 드러내고 있다.

문제

각 연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:
1연: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
2연: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(戀慕)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하던 못하였으리라
3연: 끊임없는 광음(光陰)을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
4연: 지금 눈 나리고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
5연: 다시 천고(千古)의 뒤에 백마 타고 오는 초인(超人)이 있어 이 광야에서 목 놓아 부르게 하리라

선택지:

  • ① 1연에서는 새로운 세상이 열리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.
  • ② 2연에서는 외부 세력에 대한 호감을 드러내고 있다.
  • ③ 3연에서는 끊이지 않는 세월의 흐름을 보여 주고 있다.
  • ④ 5연에서는 미래에 출현할 존재를 제시하고 있다.

문제 풀이

각 연의 내용 분석
  • 1연: "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"
    새로운 세상이 열리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며, 창조의 순간을 묘사합니다. → 적절
  • 2연: "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"
    산맥이 바다를 향한 동경을 나타내며 자연의 숭고함을 그립니다. 외부 세력에 대한 호감이나 관련된 내용은 없습니다. → 부적절
  • 3연: "끊임없는 광음을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"
    자연의 순환과 시간의 흐름을 보여 줍니다. → 적절
  • 4연: "지금 눈 나리고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"
    현재의 정취를 묘사하며, 고요함과 개인적 성찰을 나타냅니다. 이 선택지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.
  • 5연: "다시 천고의 뒤에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"
    미래에 출현할 초월적 존재(초인)를 제시하며 희망을 드러냅니다. → 적절
결론
정답은 ② 2연에서는 외부 세력에 대한 호감을 드러내고 있다.
2연은 외부 세력에 대한 호감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, 자연의 동경과 숭고함을 묘사하고 있습니다.

11번 문제

정답: ② 고독한 상황에서 부정적 현실을 극복하고자 한다.

문제

[A]에서 알 수 있는 화자의 태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 [A]:
지금 눈 나리고
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
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

선택지:

  • ① 인간이 자연에 순응하는 세계를 지향하고자 한다.
  • ② 고독한 상황에서 부정적 현실을 극복하고자 한다.
  • ③ 타인의 삶에 비추어 자신의 과거를 성찰하고자 한다.
  • ④ 주어진 환경 속에서 자신의 운명을 회피하고자 한다.

문제 풀이

[A]의 내용 분석
"지금 눈 나리고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":
고독하고 차분한 상황 속에서 매화 향기를 통해 자연의 고요함과 희망을 느끼는 장면입니다.
"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":
화자는 자신의 고독한 상황 속에서도 희망의 씨앗(노래의 씨)을 뿌리며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줍니다. 현실이 어려울지라도 이를 극복하고 새로운 시작을 염원하는 태도를 담고 있습니다.
선택지 분석
  • ① 인간이 자연에 순응하는 세계를 지향하고자 한다:
    자연의 묘사가 등장하지만, 화자가 단순히 자연에 순응하려는 의도를 드러낸 것은 아닙니다. → 오답
  • ② 고독한 상황에서 부정적 현실을 극복하고자 한다:
    화자는 고독한 상황 속에서 희망의 씨를 뿌리며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. → 정답
  • ③ 타인의 삶에 비추어 자신의 과거를 성찰하고자 한다:
    화자가 타인의 삶과 자신의 과거를 비교하거나 성찰하는 내용은 등장하지 않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④ 주어진 환경 속에서 자신의 운명을 회피하고자 한다:
    화자는 자신의 고독한 현실을 회피하지 않고 노래의 씨를 뿌리는 태도로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습니다. → 오답
결론
정답은 ② 고독한 상황에서 부정적 현실을 극복하고자 한다.
화자는 고독한 현실 속에서도 "노래의 씨"를 뿌리며 희망을 만들고 부정적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.

12번 문제

정답: ④ 초월적 능력을 발휘하는 인물이 등장한다.

문제

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:
박 씨가 구슬발을 드리우고 부채를 쥐고 불을 붙이니, 불길이 오랑캐 진영을 덮쳐 오랑캐 장졸이 대열을 잃고 타 죽고 밟혀 죽으며 남은 군사는 살기를 도모하여 다 도망하는지라.
용골대가 할 수 없어,
“이미 화친을 받았으니 대공을 세웠거늘, 부질없이 ㉠ 조그만 계집을 시험하다가 공연히 장졸만 다 죽였으니, 어찌 분하고 한스럽지 않으리오.”
하고 회군하여 나설 제, ㉡ 왕대비와 세자, 대군이며 장안 미색을 데리고 가는지라.
박 씨가 시비 계화를 시켜 외치기를,
“무지한 오랑캐야, 너희 왕 놈이 무식하여 은혜지국(恩惠之國)을 침범하였거니와, 우리 왕대비는 데려가지 못하리라. 만일 그런 뜻을 두면 너희들은 본국에 돌아가지 못하리라.”
(중략)
박 씨가 또 계화를 시켜 외치기를,
“너희가 일양 그리하려거든 내 재주를 구경하라.”
하더니, 이윽고 공중으로 두 줄기 무지개가 일어나며, 모진 비가 천지를 뒤덮게 오며, 음풍이 일어나며, 백설이 날리며, 얼음이 얼어 오랑캐 군중의 말 발이 땅에 붙어 한 걸음도 옮기지 못하는지라.
그제야 오랑캐 장수들이 황겁하여 아무리 생각하여도 모두 함몰할지라. 마지못하여 오랑캐 장수들이 투구를 벗고 창을 버려, 피화당 앞에 나아가 꿇어 애걸하기를,
“오늘날 이미 화친(和親)을 받았으나 왕대비는 아니 모셔 갈 것이니, ㉢ 박 부인 덕택에 살려 주옵소서.”
하고 여러 가지로 사정을 말하여 애걸하거늘, 박 씨가 주렴 안에서 꾸짖기를,
“너희들을 씨 없이 죽일 것이로되, 천시(天時)를 생각하고 용서하거니와, 너희 놈이 본디 간사하여 넘치는 죄를 지었으나 이번은 아는 일이 있어 살려 보내나니, 조심하여 들어가며, 우리 세자, 대군을 부디 태평히 모셔 가라. 만일 그렇지 아니하면 ㉣ 내 오랑캐를 씨도 없이 멸하리라.”

선택지:

  • ① 1인칭 주인공 시점에서 사건을 서술한다.
  • ② 속담을 활용하여 인물의 심리를 묘사한다.
  • ③ 인간을 위기에서 구하는 동물이 나타난다.
  • ④ 초월적 능력을 발휘하는 인물이 등장한다.

문제 풀이

지문의 주요 특징
  • 박 씨: 구슬발과 부채를 활용하여 불길을 일으키고, 자연재해를 초래하는 등 초월적 능력을 발휘합니다.
  • 오랑캐 군대를 물리치는 박 씨의 활약이 서술되어 있습니다.
  • 이러한 장면은 비현실적이고 초월적인 능력이 중심입니다.
선택지 분석
  • ① 1인칭 주인공 시점에서 사건을 서술한다:
    서술자는 1인칭 주인공 시점이 아닌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사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② 속담을 활용하여 인물의 심리를 묘사한다:
    지문에서는 속담이 사용되지 않았으며, 인물의 심리는 대사와 행동으로 묘사됩니다. → 오답
  • ③ 인간을 위기에서 구하는 동물이 나타난다:
    박 씨의 초월적 능력이 인간을 구하는 중심이므로, 동물은 등장하지 않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④ 초월적 능력을 발휘하는 인물이 등장한다:
    박 씨가 불길을 조종하고 자연재해를 일으키는 초월적 능력을 발휘하며, 이야기를 이끄는 핵심 인물입니다. → 정답
결론
정답은 ④ 초월적 능력을 발휘하는 인물이 등장한다.
박 씨의 초자연적이고 비현실적인 능력(불길 조종, 자연재해 초래)이 지문의 중심 내용입니다.

13번 문제

정답: ② ㉡

문제

㉠∼㉣ 중 가리키는 대상이 나머지와 다른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 속 ㉠∼㉣의 내용:
  • ㉠: 조그만 계집을 시험하다가
    오랑캐 장수가 박 씨를 경멸적으로 언급하며, 박 씨를 가리킵니다.
  • ㉡: 왕대비와 세자, 대군이며 장안 미색을 데리고 가는지라
    오랑캐 군이 끌고 가려는 대상들로, 왕대비와 세자, 대군 등 조선의 왕실 인물을 가리킵니다.
  • ㉢: 박 부인 덕택에 살려 주옵소서
    오랑캐 장수들이 박 씨에게 감사를 표하는 표현으로, 박 씨를 가리킵니다.
  • ㉣: 내 오랑캐를 씨도 없이 멸하리라
    박 씨가 자신을 가리키며 "내가 오랑캐를 멸하겠다"고 말하는 표현으로, 박 씨를 가리킵니다.

선택지:

  • ① ㉠
  • ② ㉡
  • ③ ㉢
  • ④ ㉣

문제 풀이

선택지 분석
  • ① ㉠: 박 씨를 가리킵니다. → 대상 동일
  • ② ㉡: 왕대비와 세자, 대군을 가리키며, 나머지와 다른 대상입니다. → 정답
  • ③ ㉢: 박 씨를 가리킵니다. → 대상 동일
  • ④ ㉣: 박 씨를 가리킵니다. → 대상 동일
결론
정답은 ② ㉡입니다.
나머지 표현(㉠, ㉢, ㉣)은 모두 박 씨를 지칭하지만, ㉡은 왕대비와 세자, 대군 등 조선 왕실의 인물을 가리키며 대상이 다릅니다.

14번 문제

정답: ① ‘박 씨’는 오랑캐의 용맹함을 두려워하고 있다.

문제

윗글에서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?

선택지:

  • ① ‘박 씨’는 오랑캐의 용맹함을 두려워하고 있다.
  • ② ‘박 씨’는 오랑캐가 큰 죄를 지었다고 말하고 있다.
  • ③ ‘박 씨’는 ‘계화’를 통해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고 있다.
  • ④ ‘박 씨’는 오랑캐에게 세자와 대군을 잘 모셔 가라고 말하고 있다.

문제 풀이

선택지 분석
  • ① ‘박 씨’는 오랑캐의 용맹함을 두려워하고 있다:
    지문에서 박 씨는 오랑캐 군대를 초월적 능력으로 제압하며, 두려움을 보이지 않습니다. 오히려 박 씨는 오랑캐를 꾸짖고 경고하며 자신감을 드러냅니다. → 적절하지 않음
  • ② ‘박 씨’는 오랑캐가 큰 죄를 지었다고 말하고 있다:
    박 씨는 "너희 놈이 본디 간사하여 넘치는 죄를 지었다"고 꾸짖으며, 오랑캐가 큰 죄를 지었다고 명확히 말합니다. → 적절함
  • ③ ‘박 씨’는 ‘계화’를 통해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고 있다:
    박 씨는 자신의 말을 직접 하지 않고, 시비 계화를 통해 의사를 전달합니다. → 적절함
  • ④ ‘박 씨’는 오랑캐에게 세자와 대군을 잘 모셔 가라고 말하고 있다:
    박 씨는 "우리 세자, 대군을 부디 태평히 모셔 가라"고 말하며, 그들의 안전을 당부합니다. → 적절함
결론
정답은 ① ‘박 씨’는 오랑캐의 용맹함을 두려워하고 있다.
박 씨는 두려움을 느끼는 모습이 전혀 없으며, 오히려 초월적 능력으로 오랑캐를 압도하고 자신감을 드러냅니다.

15번 문제

정답: ② 중장이 다른 장에 비해 길다.

문제

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:
초장: 두터비 파리를 물고 두험 우희 치다라 안자
중장: 것넌산 바라보니 백송골(白松骨)이 떠 잇거늘
가슴이 금즉하여 풀덕 뛰여 내닷다가
두험 아래 쟛바지거고
종장: 모쳐라 날낸 낼싀만졍 에헐질 번 하괘라

선택지:

  • ① 10구체 형식을 갖추고 있다.
  • ② 중장이 다른 장에 비해 길다.
  • ③ 동일한 후렴구가 반복되고 있다.
  • ④ 수미상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.

문제 풀이

지문의 구조 분석
초장(1구), 중장(3구), 종장(1구)로 구성되어 있으며, 중장이 다른 장에 비해 길게 나타납니다. 이는 시조의 구조적 특징 중 하나로, 중장은 보통 서술적 내용을 포함하며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 수 있습니다.
선택지 분석
  • ① 10구체 형식을 갖추고 있다:
    10구체 향가는 총 10구로 구성된 '4구-4구-2구'의 형식을 가집니다. 지문은 10구체 형식이 아니므로 오답입니다. → 오답
  • ② 중장이 다른 장에 비해 길다:
    지문에서 중장은 초장(1구), 종장(1구)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3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이는 중장이 길게 나타나는 시조의 전형적 특징을 반영합니다. → 정답
  • ③ 동일한 후렴구가 반복되고 있다:
    지문에 동일한 후렴구는 등장하지 않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④ 수미상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:
    수미상관 구조는 작품의 시작과 끝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연결되는 구성을 의미합니다. 지문은 수미상관 구조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. → 오답
결론
정답은 ② 중장이 다른 장에 비해 길다.
지문의 초장(1구), 중장(3구), 종장(1구) 중 중장이 다른 장에 비해 길게 나타나는 특징이 잘 드러납니다.

16번 문제

정답: ② 해학적인 표현을 통해 대상을 희화화하고 있다.

문제

윗글의 표현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:
두터비 파리를 물고 두험 우희 치다라 안자
것넌산 바라보니 백송골(白松骨)이 떠 잇거늘
가슴이 금즉하여 풀덕 뛰여 내닷다가
두험 아래 쟛바지거고
모쳐라 날낸 낼싀만졍 에헐질 번 하괘라

선택지:

  • ① 공감각적 심상을 통해 주제를 부각하고 있다.
  • ② 해학적인 표현을 통해 대상을 희화화하고 있다.
  • ③ 색채 이미지의 대비를 통해 계절감을 드러내고 있다.
  • ④ 명령형 종결 표현을 통해 화자의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.

문제 풀이

지문의 표현상 특징 분석
  • 내용 요약:
    두터비(개구리)가 파리를 물고 두험 위에 올라가 있다가, 흰 송골매를 보고 놀라 뛰어내리며 멍이 들 뻔한 상황을 서술합니다.
  • 표현 특징:
    두터비와 흰 송골매의 행동을 통해 자연 속 동물들의 생동감을 표현합니다.
    두터비가 멍이 들 뻔한 상황을 서술하며 익살스럽고 해학적인 표현이 사용됩니다.
선택지 분석
  • ① 공감각적 심상을 통해 주제를 부각하고 있다:
    공감각적 심상은 시각, 청각, 촉각 등 여러 감각이 융합된 심상으로, 본문에서는 이러한 표현이 나타나지 않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② 해학적인 표현을 통해 대상을 희화화하고 있다:
    두터비가 파리를 물고 있다가 흰 송골매를 보고 놀라 뛰어내리는 장면은 익살스럽고 해학적인 상황을 묘사합니다.
    특히, "에헐질 번 하괘라"라는 표현은 두터비의 실수와 멍이 들 뻔한 상황을 희화화하고 있습니다. → 정답
  • ③ 색채 이미지의 대비를 통해 계절감을 드러내고 있다:
    "백송골(흰 송골매)"은 색채 이미지를 나타내지만, 색채 이미지 간의 대비나 계절감 표현은 나타나지 않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④ 명령형 종결 표현을 통해 화자의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:
    지문은 관찰과 서술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 명령형 표현이 사용되지 않습니다. → 오답
결론
정답은 ② 해학적인 표현을 통해 대상을 희화화하고 있다.
두터비와 흰 송골매의 생동감 있는 행동 묘사를 통해 해학적인 상황을 표현하고, 대상을 익살스럽게 희화화하고 있습니다.

17번 문제

정답: ④ 촬영을 고려한 전문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.

문제

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:
S#17 아름이의 방(낮∼해 질 녘)
아빠의 과거를 생각하며 글을 쓰던 아름이. 갑자기 얼굴이 일그러진다. 밀려오는 심장의 통증. 대수가 눈치챌까 봐 힘겹게 걸어가 방문을 닫고는, 약통에서 진통제를 꺼내 먹고 진정하려 한다. 식은땀이 흐르고, 그렇게 괴로워하다가 약에 취해 꾸부린 채 까무룩 잠이 드는 아름이.
컷 투(cut to). 시간 경과.
바닥에 엎드린 채 잠든 아름이의 주름진 손가락이 보인다. 어느새 불그스레 희미해진 햇살이 작은 창으로 길게 스며들고 있다.
그때 ‘띵’ 전자 우편 수신을 알리는 소리. 잠에서 깨는 아름이. 접속해 보면 편지함에 ㉠ 편지 한 통이 와 있다. 보낸 사람 이름은 ‘이서하’, 제목은 ‘아름에게’. 아름이, 고개를 갸웃거리며 편지를 열어 보면 편지 내용이 화면에 채워진다.
안녕? 나는 이서하라고 해. 열여섯 살, 너랑 같은 나이야. 네 전자 우편 주소는 방송국을 통해 겨우 받아 냈어. 아마 나도 아픈 아이란 걸 알고 알려 준 것 같아. 방송을 본 후 너와 친구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. 물론 아름이 너만큼은 아니겠지만, 일 분이 영원처럼 느껴지는 시간에 대해, 나도 조금은 알고 있거든. 행운을 빌어. 아름 이서하?
두근두근, 갑자기 가슴이 뛰고, 목이 바짝바짝 타면서, 온몸에 열기가 느껴지는 아름이.
S#18 아름이의 방, 집 앞 골목길(낮∼밤)
서하(소리) (귀여운 말투로) 안녕? 나는 이서하라고 해. 너랑 같은 나이야.
환청으로 아름이의 귓가에 자꾸만 반복되는 서하의 목소리. 아름이, 책상 앞에 앉았지만 집중이 되질 않는다. 그렇게 날이 바뀌어도 떠나질 않는 환청.
컷 투(cut to). 침대에 누워 있는 아름이. 밤이 되어도 귓가에서 떠나질 않는 서하의 목소리.
서하(소리) (농염한 말투로) 안녕? 나는 이서하라고 해. 너랑 같은 나이야.
침대에서 벌떡 일어나는 아름이. 눈 밑에 눈 그늘이 내려와 있고 좀처럼 잠이 올 것 같지 않다.
컷 투(cut to). 집 앞 골목길의 아름이. 계속해서 귓가에 맴도는 목소리.
서하(소리) (청순한 말투로) 안녕? 나는 이서하라고 해. 너랑 같은 나이야.

선택지:

  • ① 무대 위에서 사건이 전개되고 있다.
  • ② 장과 막을 구성단위로 사용하고 있다.
  • ③ 등장인물이 관객과 직접 소통하고 있다.
  • ④ 촬영을 고려한 전문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.

문제 풀이

선택지 분석
  • ① 무대 위에서 사건이 전개되고 있다:
    지문은 영화 대본 형식으로, 무대 공연의 내용이 아닙니다. → 오답
  • ② 장과 막을 구성단위로 사용하고 있다:
    장과 막을 사용하는 연극 형식이 아닌, 영화 대본 형식입니다. → 오답
  • ③ 등장인물이 관객과 직접 소통하고 있다:
    지문에서는 등장인물이 관객과 직접 대화하는 내용이 없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④ 촬영을 고려한 전문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:
    “컷 투(cut to)”와 같은 촬영 기법 용어가 사용되어 장면 전환이 표현되고 있습니다. → 정답
결론
정답은 ④ 촬영을 고려한 전문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.
지문은 영화 대본 형식으로, “컷 투(cut to)”와 같은 전문 촬영 용어를 사용하여 장면 전환을 묘사하고 있습니다.

18번 문제

정답: ④ ‘아름’에게 또래 아이에 대한 설렘을 느끼게 한다.

문제

㉠의 기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 속 ㉠ 내용:
그때 ‘띵’ 전자 우편 수신을 알리는 소리.
잠에서 깨는 아름이. 접속해 보면 편지함에 ㉠ 편지 한 통이 와 있다.
보낸 사람 이름은 ‘이서하’, 제목은 ‘아름에게’. 아름이, 고개를 갸웃거리며 편지를 열어 보면 편지 내용이 화면에 채워진다.
안녕? 나는 이서하라고 해. 열여섯 살, 너랑 같은 나이야.
네 전자 우편 주소는 방송국을 통해 겨우 받아 냈어.
방송을 본 후 너와 친구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.
물론 아름이 너만큼은 아니겠지만, 일 분이 영원처럼 느껴지는 시간에 대해, 나도 조금은 알고 있거든.
행운을 빌어. 아름 이서하?
두근두근, 갑자기 가슴이 뛰고, 목이 바짝바짝 타면서, 온몸에 열기가 느껴지는 아름이.

선택지:

  • ① ‘아름’에게 경제적 어려움을 느끼게 한다.
  • ② ‘아름’에게 투병 생활의 고통을 느끼게 한다.
  • ③ ‘아름’에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게 한다.
  • ④ ‘아름’에게 또래 아이에 대한 설렘을 느끼게 한다.

문제 풀이

지문의 상황 분석
㉠(편지)는 같은 나이 또래인 이서하가 보내온 전자 우편으로, 친구가 되고 싶다는 진심이 담긴 메시지입니다.
아름이는 이 편지를 읽고 나서 "가슴이 뛰고, 목이 바짝바짝 타면서, 온몸에 열기가 느껴지는" 등 설렘을 느끼는 감정을 보입니다.
선택지 분석
  • ① ‘아름’에게 경제적 어려움을 느끼게 한다:
    경제적 어려움은 아름의 치료비 문제와 관련된 설정에서 드러나지만, ㉠(편지)와는 관련이 없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② ‘아름’에게 투병 생활의 고통을 느끼게 한다:
    투병 생활의 고통은 지문 초반, 아름이가 진통제를 먹고 괴로워하는 장면에서 드러납니다. 그러나 ㉠(편지)의 내용은 아름에게 고통이 아닌 새로운 감정을 느끼게 합니다. → 오답
  • ③ ‘아름’에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게 한다:
    편지의 내용은 공감과 우정을 제안하며, 죽음의 두려움과는 관련이 없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④ ‘아름’에게 또래 아이에 대한 설렘을 느끼게 한다:
    ㉠(편지)는 아름에게 또래 소녀의 진심과 관심을 전달하며, 설렘을 느끼게 합니다. 아름이 설레는 감정은 이후에도 이어지며 "환청으로 들리는 서하의 목소리"를 통해 반복적으로 강조됩니다. → 정답
결론
정답은 ④ ‘아름’에게 또래 아이에 대한 설렘을 느끼게 한다.
㉠(편지)은 아름이에게 설렘과 기대감을 유발하며, 이 감정은 이후 장면에서 계속 강조됩니다.

19번 문제

정답: ③ ‘서하’는 집에 직접 찾아와서 ‘아름’을 만났다.

문제

윗글에서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?

선택지:

  • ① ‘아름’은 심장 통증으로 고통받고 있다.
  • ② ‘서하’는 ‘아름’이 출연한 방송을 보았다.
  • ③ ‘서하’는 집에 직접 찾아와서 ‘아름’을 만났다.
  • ④ ‘아름’은 ‘대수’에게 걱정을 끼치지 않으려고 한다.

문제 풀이

선택지 분석
  • ① ‘아름’은 심장 통증으로 고통받고 있다:
    아름은 지문 초반에서 "심장의 통증"을 느껴 진통제를 복용하며 고통을 진정시키려는 모습이 묘사됩니다. 이는 지문에서 확인 가능한 내용입니다. → 적절함
  • ② ‘서하’는 ‘아름’이 출연한 방송을 보았다:
    서하는 편지에서 "방송을 본 후 너와 친구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"라고 말하며, 방송을 본 사실이 명확히 드러납니다. → 적절함
  • ③ ‘서하’는 집에 직접 찾아와서 ‘아름’을 만났다:
    서하는 전자 우편을 통해 아름에게 연락을 취했을 뿐, 집에 직접 찾아와 만났다는 내용은 지문에 없습니다. 이는 지문과 일치하지 않는 내용입니다. → 적절하지 않음
  • ④ ‘아름’은 ‘대수’에게 걱정을 끼치지 않으려고 한다:
    아름은 "대수가 눈치챌까 봐 힘겹게 걸어가 방문을 닫고" 진통제를 복용하며, 아픔을 감추려는 모습을 보입니다. 이는 대수에게 걱정을 끼치지 않으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. → 적절함
결론
정답은 ③ ‘서하’는 집에 직접 찾아와서 ‘아름’을 만났다.
서하는 전자 우편을 통해 아름과 소통했을 뿐, 집에 찾아와 만난 적은 없습니다.

20번 문제

정답: ② 화제에 대한 상반된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.

문제

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:
생명 과학이나 생명 공학 연구 활동에 종사하는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인간 배아 복제를 포함한 배아 연구를 정부가 규제하는 것은 과학자들의 연구 자유를 ㉠ 침해하는 행위라고 주장한다. 과학의 발전은 인위적으로 막아서는 안 되며, 과학자의 자유로운 연구를 보장해야 한다는 논리이다. ㉮ 이와 같은 입장에서는 인간 배아 복제를 지속적으로 연구해 그 기술을 발전시키고 응용하면 암과 같은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으며, 우리나라의 과학 기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.

그런데 이러한 주장을 비판하는 입장에서는 인간 배아 복제를 ㉡ 초래할 수 있는 연구에 엄격한 사회적 규제를 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. 이들은 인간 배아 복제가 엄연한 생명체인 배아를 조작하고 실험하고 죽이는 일련의 비도덕적 행위를 수반하므로 연구의 자유라는 ㉢ 미명하에 허용될 수 없는 일이라고 본다. 아울러 이들은 만약 인간 배아 복제를 허용하게 된다면 이는 곧 인간 개체 복제, 즉 인간 복제로 나아가게 되는 길을 열어 주게 될 것이므로 사전에 강력하게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.

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생명 복제를 둘러싼 논쟁의 이면에는 연구의 자유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㉣ 쟁점이 자리하고 있다. 이처럼 과학 연구의 자유와 한계를 어디까지로 설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과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논란거리가 되어 왔다.

선택지:

  • ① 구체적인 통계 자료를 활용하고 있다.
  • ② 화제에 대한 상반된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.
  • ③ 질문을 통해 독자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있다.
  • ④ 대상과 관련한 개인적인 경험을 제시하고 있다.

문제 풀이

지문의 특징 분석
  • 화제: 인간 배아 복제 연구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입장을 다루고 있습니다.
  • 찬성 입장:
    • 과학자의 연구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.
    • 암과 같은 난치병 치료 가능성.
    • 과학 기술 경쟁력 향상.
  • 반대 입장:
    • 배아는 생명체로서 조작은 비도덕적이다.
    • 인간 개체 복제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.
  • 결론: 과학 연구의 자유와 규제를 둘러싼 쟁점이 논의의 핵심임을 강조합니다.
선택지 분석
  • ① 구체적인 통계 자료를 활용하고 있다:
    글은 통계 자료를 활용하지 않고 논리적 주장과 반박으로 논의를 전개합니다. → 오답
  • ② 화제에 대한 상반된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:
    글은 찬성과 반대의 상반된 입장을 균형 있게 제시하며, 연구 자유와 규제라는 화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합니다. → 정답
  • ③ 질문을 통해 독자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있다:
    글은 독자에게 질문을 던지거나 호기심을 유발하는 형식이 아니라, 논점에 대한 설명과 주장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. → 오답
  • ④ 대상과 관련한 개인적인 경험을 제시하고 있다:
    글은 객관적 논의와 주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 개인적인 경험은 제시되지 않습니다. → 오답
결론
정답은 ② 화제에 대한 상반된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.
글은 생명 복제를 둘러싼 찬성과 반대의 입장을 균형 있게 다루며, 연구 자유와 규제라는 논점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.

21번 문제

정답: ① 과학 발전을 인위적으로 막아서는 안 된다.

문제

㉮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 속 ㉮의 문장:
㉮ 이와 같은 입장에서는 인간 배아 복제를 지속적으로 연구해 그 기술을 발전시키고 응용하면 암과 같은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으며, 우리나라의 과학 기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.

선택지:

  • ① 과학 발전을 인위적으로 막아서는 안 된다.
  • ② 과학자의 연구 자유는 과학 발전과 관련이 없다.
  • ③ 배아 복제 연구는 엄격한 사회적 규제가 필요하다.
  • ④ 배아 복제 연구는 난치병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.

문제 풀이

㉮의 내용 분석
㉮는 배아 복제 찬성 입장을 다루며, 배아 복제를 지속적으로 연구해 난치병 치료 기술을 개발하고 과학 기술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습니다.
선택지 분석
  • ① 과학 발전을 인위적으로 막아서는 안 된다:
    배아 복제 연구를 지속해야 한다는 찬성 입장과 관련이 있으며, 적절한 내용입니다. → 정답
  • ② 과학자의 연구 자유는 과학 발전과 관련이 없다:
    지문에서 과학자의 연구 자유와 과학 발전은 밀접히 관련이 있다고 설명합니다. → 오답
  • ③ 배아 복제 연구는 엄격한 사회적 규제가 필요하다:
    이는 반대 입장에서 제기하는 주장으로, ㉮(찬성 입장)의 내용과 맞지 않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④ 배아 복제 연구는 난치병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:
    ㉮에서는 배아 복제 연구가 난치병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으므로, 내용이 맞지 않습니다. → 오답
결론
정답은 ① 과학 발전을 인위적으로 막아서는 안 된다.
㉮는 배아 복제 연구가 과학 발전 및 난치병 치료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, 이를 막아서는 안 된다는 찬성 입장을 표현합니다.

22번 문제

정답: ④ ㉣ : 어떤 일을 서로 양보하여 협의함.

문제

㉠∼㉣의 사전적 의미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 속 ㉠∼㉣의 문장:
㉠: "정부가 규제하는 것은 과학자들의 연구 자유를 ㉠ 침해하는 행위라고 주장한다."
㉡: "인간 배아 복제를 ㉡ 초래할 수 있는 연구에 엄격한 사회적 규제를 가해야 한다."
㉢: "연구의 자유라는 ㉢ 미명하에 허용될 수 없는 일이라고 본다."
㉣: "생명 복제를 둘러싼 논쟁의 이면에는 연구의 자유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㉣ 쟁점이 자리하고 있다."

선택지:

  • ① ㉠ : 침범하여 해를 끼침.
  • ② ㉡ : 일의 결과로서 어떤 현상을 생겨나게 함.
  • ③ ㉢ : 그럴듯하게 내세운 명목이나 명칭.
  • ④ ㉣ : 어떤 일을 서로 양보하여 협의함.

문제 풀이

㉠ 침해
  • 사전적 의미: 침범하여 해를 끼침.
  • 지문에서 연구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라는 표현과 일치합니다. → 적절함
㉡ 초래
  • 사전적 의미: 일의 결과로서 어떤 현상을 생겨나게 함.
  • 지문에서 배아 복제를 초래할 수 있는 연구라는 표현과 일치합니다. → 적절함
㉢ 미명
  • 사전적 의미: 그럴듯하게 내세운 명목이나 명칭.
  • 지문에서 연구의 자유라는 미명하에라는 표현과 일치합니다. → 적절함
㉣ 쟁점
  • 사전적 의미: 서로 다른 의견이 맞서 논쟁의 대상이 되는 점.
  • 지문에서는 연구의 자유를 둘러싼 쟁점으로 사용되었으므로, 선택지의 "서로 양보하여 협의함"과는 의미가 다릅니다. → 적절하지 않음
결론
정답은 ④ ㉣ : 어떤 일을 서로 양보하여 협의함.
㉣ 쟁점의 정확한 의미는 논쟁의 대상이 되는 점으로, 선택지의 의미는 부적절합니다.

23번 문제

정답: ③ 이용후생 학파와 경세치용 학파는 학문적 지향이 달랐다.

문제

윗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:
실학자들은 천주교와 함께 유입된 서양화를 대상의 ‘참다운 형상’을 묘사하는 데 적합한 화법으로 여겨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. 그런데 서양화법에 매료되었던 실학자들의 태도를 보면, 한 가지 특이한 사실이 발견된다.

박지원, 박제가, 홍대용과 같은 이용후생 학파(북학파)는 주로 서양화의 회화적 표현에 관심이 많았다. 이에 반해 이익이나 정약용 같은 경세치용 학파는 회화의 원리나 그림을 그릴 때 사용되는 기구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였다. 그들의 학문적 지향이 다르듯, 서양화법에 대한 인식 또한 특정 방면으로 나타나는 것이 흥미롭다.

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관심을 받으며 유입된 서양화법은 다양한 분야의 그림에 영향을 끼쳤다. ( ㉠ ) 서양화법의 유행은 그리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. 그 까닭은 무엇일까? 아마도 ‘눈’에 보이는 현상보다 ‘정신’을 중요시한 동양화의 전통이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.

예로부터 동양에서는 눈에 보이는 사실을 그대로 옮겨 그리기보다 ‘마음’으로 해석하여 표현하고자 했다. 그 결과 동양의 화가들은 먹과 선을 위주로 대상의 의미와 느낌을 전달하는 데 주력했다. 반면 서양에서는 눈에 보이는 것을 그대로 화폭에 담으려고 원근법과 화려한 색을 사용하여 사실적인 표현을 추구했다. 동양화와 서양화에 나타나는 이 같은 차이는 정신적인 것을 추구하는 동양인과 눈에 보이는 현상에 집중하는 서양인의 삶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. 세상을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의 차이가 결과적으로 그만큼 다른 회화적 표현을 낳았던 듯하다.

선택지:

  • ① 서양화법의 유행은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지속되었다.
  • ② 이용후생 학파는 회화에 사용되는 기구에 관심이 많았다.
  • ③ 이용후생 학파와 경세치용 학파는 학문적 지향이 달랐다.
  • ④ 서양의 화가들은 먹과 선을 통해 대상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했다.

문제 풀이

선택지 분석
  • ① 서양화법의 유행은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지속되었다:
    지문에서 "서양화법의 유행은 그리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"고 명시되어 있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② 이용후생 학파는 회화에 사용되는 기구에 관심이 많았다:
    지문에서 이용후생 학파는 "서양화의 회화적 표현에 관심"이 많았다고 설명합니다. 회화의 기구에 대한 관심은 경세치용 학파와 관련된 내용입니다. → 오답
  • ③ 이용후생 학파와 경세치용 학파는 학문적 지향이 달랐다:
    지문에 "그들의 학문적 지향이 다르듯, 서양화법에 대한 인식 또한 특정 방면으로 나타나는 것이 흥미롭다"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. → 정답
  • ④ 서양의 화가들은 먹과 선을 통해 대상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했다:
    지문에서 먹과 선은 동양화의 특징으로 설명되었으며, 서양화는 "원근법과 화려한 색을 사용하여 사실적인 표현을 추구"한다고 서술되어 있습니다. → 오답
결론
정답은 ③ 이용후생 학파와 경세치용 학파는 학문적 지향이 달랐다.
지문에서 두 학파의 학문적 지향이 다름을 언급하며, 서양화법에 대한 관심의 초점이 다르다는 내용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.

24번 문제

정답: ④ 하지만

문제

㉠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

지문 속 ㉠ 문장:
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관심을 받으며 유입된 서양화법은 다양한 분야의 그림에 영향을 끼쳤다. ( ㉠ ) 서양화법의 유행은 그리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.

선택지:

  • ① 그러면
  • ② 따라서
  • ③ 이처럼
  • ④ 하지만

문제 풀이

앞뒤 문장 관계 분석
  • 앞 문장: 서양화법이 실학자들의 관심을 받고 다양한 그림에 영향을 끼쳤다는 긍정적 측면을 언급.
  • 뒤 문장: 그러나 서양화법의 유행이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는 부정적 결과를 서술.
  • 앞뒤 문장은 대조 관계에 있습니다.
선택지 분석
  • ① 그러면: 앞의 조건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는 접속 부사로, 문맥상 적절하지 않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② 따라서: 앞의 원인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는 접속 부사로, 앞뒤 문장이 대조 관계이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③ 이처럼: 앞 문장을 구체적으로 예로 들거나 요약하며 뒤 문장을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. 여기서는 앞뒤 문장이 대조 관계에 있어 적절하지 않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④ 하지만: 앞뒤 문장의 대조 관계를 나타내는 접속 부사로, 앞의 긍정적 측면과 뒤의 부정적 결과를 연결하는 데 적합합니다. → 정답
결론
정답은 ④ 하지만.
앞 문장에서 서양화법의 긍정적 영향, 뒤 문장에서 서양화법 유행의 단명이라는 부정적 결과를 언급하며 대조 관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.

25번 문제

정답: ③ 동양화와 서양화의 회화적 표현이 서로 다른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.

문제

[A]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

[A] 지문:
예로부터 동양에서는 눈에 보이는 사실을 그대로 옮겨 그리기보다 ‘마음’으로 해석하여 표현하고자 했다. 그 결과 동양의 화가들은 먹과 선을 위주로 대상의 의미와 느낌을 전달하는 데 주력했다. 반면 서양에서는 눈에 보이는 것을 그대로 화폭에 담으려고 원근법과 화려한 색을 사용하여 사실적인 표현을 추구했다.

동양화와 서양화에 나타나는 이 같은 차이는 정신적인 것을 추구하는 동양인과 눈에 보이는 현상에 집중하는 서양인의 삶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. 세상을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의 차이가 결과적으로 그만큼 다른 회화적 표현을 낳았던 듯하다.

선택지:

  • ① 동양화와 서양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있다.
  • ② 동양화와 서양화의 공통점을 분석하고 있다.
  • ③ 동양화와 서양화의 회화적 표현이 서로 다른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.
  • ④ 동양화와 서양화의 작가에 대한 잘못된 통념을 반박하고 있다.

문제 풀이

지문의 핵심 내용 요약
[A]에서는 동양화와 서양화의 차이를 설명하고, 이를 동양인과 서양인의 삶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합니다.
  • 동양화: 마음으로 해석하여 먹과 선으로 의미를 전달.
  • 서양화: 눈에 보이는 현상을 사실적으로 표현.
  • 결론: 세상을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의 차이가 다른 회화적 표현을 낳음.
선택지 분석
  • ① 동양화와 서양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있다:
    지문은 개념 정의보다는 동양화와 서양화의 특징 및 차이를 설명하고 있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② 동양화와 서양화의 공통점을 분석하고 있다:
    지문은 공통점이 아닌 동양화와 서양화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. → 오답
  • ③ 동양화와 서양화의 회화적 표현이 서로 다른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:
    지문은 동양화와 서양화의 회화적 표현의 차이를 설명하며, 이를 동양인과 서양인의 삶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합니다. → 정답
  • ④ 동양화와 서양화의 작가에 대한 잘못된 통념을 반박하고 있다:
    지문에서는 작가에 대한 통념을 반박하는 내용이 등장하지 않습니다. → 오답
결론
정답은 ③ 동양화와 서양화의 회화적 표현이 서로 다른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.
[A]는 동양화와 서양화의 표현적 차이를 서양과 동양의 삶에 대한 태도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합니다.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